본문콘텐츠영역
홈 > 다이어트 치료 > 학술저서
학술저서
저서
-
당질조절 프로젝트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과잉 당질 섭취 문제를 중심으로, 인슐린 저항성, 대사증후군, 제2형 당뇨병 등의 발생기전을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저자는 다양한 국내외 논문을 바탕으로 당질제한 식단(Low Carbohydrate Diet, LCD)이 비만 및 혈당 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 이를 임상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식단 설계 방법과 적용 사례를 제시합니다.
저자 방민우 내용 확인하기 -
당질량 핸드북
국내 식재료와 외식 메뉴를 중심으로 구성된 국문판 탄수화물(당질) 계량 자료집입니다. 당질 함량 데이터를 일본 문헌(糖質量ハンドブック, 江部康二 감수)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하여, 실제 식사에서 당질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저당 식이 실천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유용한 임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저자 방민우 내용 확인하기 -
다이어트 이론
한의학과 최신 영양학을 융합한 비만 치료 이론서로, 한약 감량의 작용기전(예: 마황의 β-아드레날린 활성화), 식욕 및 기초대사 조절 기전을 체계적으로 해설합니다. 또한 한방 치료와 저탄수화물 식이 병행 전략을 제시하며, 실제 임상에 적용된 다이어트 사례를 통해 효과와 안전성을 검토합니다.
저자 다이트한의원 내용 확인하기 -
젊은 당뇨병이 위험하다
20~40대의 조기 발병 당뇨병(early-onset T2DM) 증가에 주목한 경고서로, 인슐린 저항성과 고탄수화물 식사의 관련성, 당대사 이상이 미치는 전신적 문제(간질환, 난임, 심혈관 질환 등)를 폭넓게 다룹니다. 식이 중재와 운동 요법 뿐 아니라, 한방 치료의 병행 가능성도 제시하며 조기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저자 다이트한의원 내용 확인하기 -
2주만에 살빼는 법칙
일본의 당질제한식 권위자 에베 코지(江部康二)의 저서를 번역한 책으로, 초기 감량 효과가 높은 '엄격 당질제한식(ケトン食)'을 중심으로 단기간 체중 감량과 혈당 개선 효과를 설명합니다. 인슐린 분비 감소, 지방 산화 촉진, 식욕 조절 기전 등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며, 2주 집중 전략 이후의 유지 방법도 구체적으로 안내합니다.
번역 방민우 내용 확인하기 -
당뇨병 치료를 위한 당질제한식 퍼펙트 가이드
저탄수화물 식이를 통한 제2형 당뇨병의 근본적 개선 전략을 소개합니다. 일본 임상의들이 적용한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약물 감량 혹은 중단, HbA1c의 빠른 개선, 간기능 정상화 등의 효과를 보여주며, 각 단계별로 의학적 안전성과 식단 설계 기준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의료인 대상의 임상적 가이드로서 유용합니다.
번역 방민우 내용 확인하기
다이트연구소 연구
-
당뇨약 비복용 초기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한약과 저탄수화물 식단 병행의 체중 감량 및 혈당 개선 효과 : 후향적 연구 비만과 제2형 당뇨병을 진단받았으나 당뇨약을 복용하지 않은 환자 3명을 대상으로, 다이트한의원의 한약 치료가 체중 및 혈당(HbA1c)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후향적 관찰 연구 저자 손지영, 신수용, 김정상, 강민휘, 이동훈, 김준호, 김충희, 최승연, 전성현, 강병수, 방민우
내용 확인하기 -
류마티스 관절염을 동반한 비만 및 과체중 환자에서 한약 치료의 효과 : 후향적 다기관 연구 류마티스 관절염을 동반한 비만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다이트한의원의 한약 복용을 통해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효과를 분석한 후향적 관찰 연구 저자 손지영, 신수용, 김정상, 강민휘, 이동훈, 전성현, 김준호, 김충희, 강병수, 방민우
내용 확인하기 -
비만과 혈당 상승을 동반한 환자에서 한의 치료와 저탄수화물 식단의 체중 감량 및 HbA1c 개선 효과: 다기관 후향적 연구 비만과 혈당 상승(HbA1c ≥ 5.7%)이 동반된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다이트한의원의 당다잇단 복용과 저탄수화물 식단(LCD) 병행 치료가 체중과 혈당(HbA1c)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다기관 후향적 관찰 연구 저자 강병수, 신수용, 김정상, 강민휘, 이동훈, 김준호, 김충희, 전성현, 손지영, 방민우
내용 확인하기 -
한의 비만 클리닉에서 확인된 마황 함유 한약 복용 중 암페타민 면역측정법의 위양성 사례 및 휴약 후 음성 사례의 후향적 분석연구 마황이 포함된 한약 복용 후 암페타민 면역측정법 위양성이 발생한 환자 6명과, 한의사의 사전 휴약 지시에 따라 음성 판정을 받은 환자 5명의 사례를 비교 분석한 후향적 관찰 연구 저자 강병수, 신수용, 김정상, 강민휘, 이동훈, 전성현, 방민우
내용 확인하기 -
체중 감량 중 발생한 트리메틸아뇨민증이 의심되는 경우의 한약 치료 사례 연구 27세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비만 치료 중 체취 변화로 인해 트리메틸아민뇨증(TMAU)으로 진단받고 한약 치료를 받은 사례를 후향적으로 분석 저자 강병수, 신수용, 김정상, 강민휘, 이동훈, 김준호, 김충희, 전성현, 손지영, 방민우
내용 확인하기 -
한약 치료를 통한 1형 당뇨병 동반 비만 환자의 체중 감량: 증례보고 3례 1형 당뇨병(T1D)과 비만(BMI ≥ 25 kg/m²)을 동반한 세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다이트한의원에서 한약을 활용한 비만 치료의 효과를 후향적으로 분석 저자 손지영, 신수용, 김정상, 강민휘, 이동훈, 전성현, 김준호, 김충희, 강병수, 방민우
내용 확인하기 -
염증성 장질환 환자에서 저탄수화물 식이요법을 병행한 한약 치료의 체중 감량 효과 및 안전성 평가 : 후향적 다기관 연구 염증성 장질환(IBD,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과 비만(BMI ≥ 25 kg/m²)이 동반된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다이트한의원에서 당다잇단(한약) 복용, 약침, 및 저탄수화물 식단(LCD)을 병행한 치료의 효과를 후향적으로 분석 저자 손지영, 신수용, 김정상, 강민휘, 이동훈, 전성현, 김준호, 김충희, 강병수, 방민우
내용 확인하기 -
한의 비만 치료 전후의 간효소 변화 비교 분석: 후향적, 다기관, 관찰연구 비만(BMI ≥ 25 kg/m²) 환자 84명을 대상으로 다이트한의원에서 한약 복용, 약침, 및 저탄수화물 식단(LCD)을 병행한 비만 치료의 간기능(LFT) 변화와 체중 감량 효과를 후향적으로 분석 저자 손지영, 신수용, 김정상, 강민휘, 이동훈, 전성현, 김준호, 최승연, 김충희, 강병수, 방민우
내용 확인하기 -
국소지방약침 LIPOSA의 임상적 효과 : 후향적 차트리뷰 국소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한약 치료와 LIP0SA 약침을 병행한 경우와 한약 단독 치료를 비교하여, LIP0SA의 임상적 효과를 후향적으로 분석 저자 방민우, 강병수, 손지영, 최승연, 신수용, 김준호
내용 확인하기 -
편맥작법에 관한 연구 황제내경의 맥경과 난경을 중심으로 편작의 맥진법에 대해 분석 저자 방민우
내용 확인하기 -
편작학파의 진단에 관한 연구 편작학파의 진단 체계, 특히 맥진법을 중심으로 황제내경과 난경을 분석 저자 방민우
내용 확인하기 -
본초 구성을 이용한 방제의 효능 추론 및 분류 방법에 관한 연구 한의학 방제의 효능을 본초 구성의 효능 정보를 바탕으로 추론하고 분류하는 방법을 분석 저자 방민우
내용 확인하기